# ionic 3(아이오닉 3) 설치하기
ionic 3를 설치해보자.
나는 맥이 없으므로 ㅜㅜ 윈도우환경에서 설치할 예정이다.
설치하기 전에 ionic이 대체 무엇인지 살짝만 맛보기로 보도록 하자.
아이오닉(Ionic)도 마찬가지로 하이브리드 앱중의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코르도바 개발 프레임웍 위에서 동작하고 앵귤러(AngularJS)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웍을 사용한다. 때문에 MVC 뿐만아니라 MVW 디자인 패턴 구현이 쉽고, 웹에서 사용하는 앵귤러 코드를 그대로 모바일로 가져다 사용할 수 있는 코드 재사용의 이점이 있다. 아이오닉은 각 모바일 페이지 관리를 위해 UI Router라는 앵귤러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추가로 사용한다.
네이티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성능 및 일부 기능의 한계라는 단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아래의 장점들을 생각한다면 아이오닉을 이용한 크로스플랫폼 개발을 고려하지 않을 이유는 없는 것 같다.
----이하 생략 (참고 :: http://webframeworks.kr/getstarted/ionic/#tocAnchor-1-1)
위의 참조된 문장처럼 아이오닉은 누구나 쉽게 어플 개발이 가능하다.
하지만 내가 살짝 배워본 결과 결코 만만한 과목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진다.
일단 ionic 3은 배포된지 얼마 안된 프레임워크고, 계속해서 수정하고 변경되어지기때문에
기존에 있었던 명령어가 안먹힐때가 많다.
찾아도 안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나도 종종 골머리를 썩고 있는 중이다 ㅠㅠ
게다가 한글메뉴얼로는 거의 없다.. 죄다 영어다 ㅋㅋ
또 다른 점은 나같은 경우엔 초짜여서 그런지 Angular JS의
Typescript 언어는 다소 생소한 언어라 배우기가 까다롭지 않을 수가 없다 .... 으잌
수다는 그만 떨고.. 이제 진짜로 설치를 해보자 :)
아이오닉 설치시 필요한 환경은 다음과 같다.
뭐가 이렇게 많아!!!! 할테지만 어쩔 수 없다 ㅎ..
설치해주어야 cmd 창에서 빨간색 에러창을 안볼 수가 있다 ^^...ㅂㄷㅂㄷ
우선 Node.js 같은 경우 꼭 LTS 버전으로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
또, java jdk도 1.8버전 대로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
왜냐면 호환이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에 무리없이 돌아간다.
위의 설치를 맞추었으면, 이제 java와 Android Studio의 환경변수를 설정해주자.
먼저 java jdk를 설정해보자.
1. Windows 검색 창에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를 쳐준다.
(빨간 동그라미 쳐진 것이 windows 검색 창)
2.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환경 변수를 클릭한다.
3. 그리고 시스템 변수(S)에서 새로 만들기(W)... 를 클릭한다.
4. 변수 이름은 위처럼 적고, 변수 값(V)는 해당 jdk의 파일경로를 적어준다.
5.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스템 변수(S)에서 Path를 클릭 후 편집(I)... 버튼을 누른다.
6. 새로 만들기를 클릭 후 위처럼 적어준다.
7. 그럼 Path에 JAVA_HOME이 등록되어진 것을 볼 수 있다.
8. 기존에 있던 cmd 창을 모두 끄고, java 명령어와 javac 명령어를 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javac 명령어를 치고서 위와같이 명령어 info가 쭉 나오면 성공적으로 환경 변수를 마친 것이다.
그럼 다음으로 Android Studio 환경변수를 설정해주자.
1. JDK와 똑같이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로 들어가서 환경변수를 클릭한다.
2. 시스템변수 -> 새로만들기를 클릭하고 위와 같이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누른다.
(변수 값 :: Sdk 설치 경로)
3. Path > 편집을 누른 후 위처럼 경로를 지정해준다.
(ANDROID_HOME 경로가 안먹어서 저렇게 경로를 다 주었다.)
4. 켜져있던 cmd 창을 모두 끄고 새로운 cmd을 열어 adb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뜨면 성공!
ionic 3 설치하기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