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Windows Server 만들기 - IIS Server 생성편
공인ip (Elastic ip)를 생성 완료했으니, 이제 IIS Server을 생성해보자.
1. 먼저 Server Manager를 검색 후 대시보드 화면으로 들어간다.
2. 대시보드창에서 Add roles and features를 선택한다.
3. Wizard 창이 뜨면 Next를 누른다.
4. Type은 Role-base or feature-based installation을 누른다.
5. 서버를 선택한 후 Next를 누른다.
6. Server Roles에서 Web Server(IIS)를 선택한다.
7. Web Server(IIS)를 추가하겠냐는 창이 나오면 Add Features를 선택한다.
8. Web Server(IIS)를 선택 후 Next를 누른다.
9. 똑같이 Next를 누른다.
10. 기본설정으로 되어있는 부분이 나오면, 건드리지 말고 Next를 누른다.
11. 대망의 Install 버튼을 누른다.
12. Web Server(IIS)가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대시보드화면에서 IIS Server가 띄어진다.
13. 브라우저에서 사설 ip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창이 뜬다.
14. 그럼 공인 ip로 접속을 시도해보자. 우선 ping이 제대로 되어지는지 확인해보자.
cmd(명령프롬프트창)에서 ping 공인ip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헌데, 위와 같이 ping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있다.
ping이 제대로 되지 않을땐 다음과 같이 Security Groups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한다.
15. Console창 -> Security Groups 창에서 인바운드를 클릭한 후 규칙 편집창에서 모든 ICMP로 다음과 같이 규칙을 추가 및 저장해준다.
16. 그럼 다음과 같이 ping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7. 다른 pc에서 공인 ip주소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18. IIS Server를 설치하게 되면 C: 드라이브에 다음과 같은 폴더가 생성된다.
wwwroot폴더에서 iisstart.html 파일이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브라우저 접속시 나오는 파란색 윈도우즈 서버창) html파일이다.
p.s 추가적으로 위와같이 설정을 해주었는데도 ping이 제대로 돌지 않거나, ERR_Connection_Time_out이란 에러문구가 뜨면,
해당 서버의 방화벽(firewall)의 인바운드 규칙(TCP/port:80)을 설정해주면 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ghtsail SQL Server 2019 - SSMS 원격 접속하기 (0) | 2021.01.04 |
---|---|
AWS Windows Server 만들기 - 탄력적 IP(Elastic ip) 생성편 (0) | 2018.10.02 |
AWS Windows Server 만들기 - 인스턴스 접속편 (0) | 2018.10.02 |
AWS - Windows Server 만들기 - 인스턴스 생성편 (0) | 2018.10.02 |